전체 글(32)
-
ERROR: [XSIM 43-3409] Failed to compile generated C file xsim.dir/work.top/obj/xsim_22.c. 에러 고치기
Vivado Simulator v2024.1Copyright 1986-2022 Xilinx, Inc. All Rights Reserved.Copyright 2022-2024 Advanced Micro Devices, Inc. All Rights Reserved.Running: /tools/xilinx/Vivado/2024.1/bin/unwrapped/lnx64.o/xelab top -L uvm -timescale 1ns/1psMulti-threading is on. Using 14 slave threads.Starting static elaborationPass Through NonSizing OptimizerCompleted static elaborationStarting simulation data ..
2024.09.02 -
vivado xsim 사용하기
Cadence사의 Xcelium은 xmvlog, xmelab, xmsim을 xrun이라는 커맨드를 통해 한번에 실행할 수 있다. vivado로 Xcelium처럼 한번에 실행하는 Command는 찾지 못했다. #!/bin/bash ./:delxvlog -f file.f -svxelab tbxsim tb -t log_wave.tcl -wdb dump.wdb -view dump.wdb -gui xvlog는 xrun -c 에 해당하며, Compile만 수행한다. -f은 filelist를 물려 돌리는 option, -sv는 systemverilog compile시 사용한다. -sv 옵션을 사용하지 않으면 일반 verilog로 인식해 문법 오류가 날 수 있다, xvlog와 xelab은 일반적인 시뮬레이터와 비..
2024.08.13 -
Vivado CLI로 UVM 사용하기
UVM은 요즘 Verification을 하면서 많이 사용하지만, 집에서 따로 실습하기 어렵다. 사용하려면 매우 비싼 상용 컴파일러가 필요하다. (Cadence 사의 Xcelium, Synopsys 사의 VCS 등등..) 아직 icarus verilog는 systemverilog 컴파일 자체를 지원하지 않는 것으로 알고 있다. EDA playground를 사용하는 방법도 있지만, UVM을 지원하는 툴(Xcelium, VCS 등) 을 사용하려면 학교, 또는 회사 메일이 필요하고, 기본 웨이브폼 툴 자체가 살짝 거지같다는 단점이 있다. 그러던 중 최근 Vivado에 uvm을 사용할 수 있는 점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Vivado는 GUI가 매우 무거워 터미널 환경(cli)에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왔다...
2024.05.27 -
전자회로 해석 및 설계 7일차
ground를 분리할 때 (= 두 회로를 절연할 때) 사용 MOSFET 보통 MOSFET의 드레인 단자에 부하를 달아 놓는다. 이 때 Source단자의 전압이 가장 낮아야한다. PMOS와 NMOS 차이 NMOS는 2.8V부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고, Pmos는 3.6V부터 전류가 흐르기 시작한다. 이를 통해 PMOS의 문턱전압은 -3.6V, NMOS는 2.8V인 것을 알 수 있다. 또, 전류가 비선형적으로 오르는 것을 볼 수 있다. 좌측 NMOS의 D에 흐르는 전류는 5/1k = 5mA가 흘러야 한다. 초록색 파형을 보면 약 4.9934mA가 흐른다. 이 말은 MOSFET는 스위치로 동작할 때 양단의 전압 차이가 거의 없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MOSFET는 파워소모가 적은 스위치라 볼 수 있다. 트랜..
2023.05.19 -
전자회로 해석 및 설계 6일차
기준전압을 만들어주는 회로를 레퍼런스 회로라고 한다. PCB상에서 기준전압을 만들어주는 부품이 제너 다이오드이다. PN접합에는 무조건 기생 캐퍼시턴스가 만들어진다. LED는 전류가 밝기를 결정한다. 레귤레이터의 입력 전압과 출력 전압과의 차이를 Drop-out Voltage라고 한다. 이 전압 값이 작아야 레귤레이터의 Power소모가 줄어든다. Drop-out Voltage를 0.2 ~ 0.5V로 줄인 전압 레귤레이터 IC를 Low Drop Out (LDO)라고 한다. 스위치가 오픈되었지만, 인덕터 때문에 발생된 지연된 전류 때문에, 스위치 양단에 kV단위의 큰 전압이 발생해 스위치 소자(보통 트랜지스터)가 망가질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는 회로를 Snubber회로(완충회로)라고 한다. Snubb..
2023.05.15 -
전자회로 해석 및 설계 - 4일차
수동필터의 종류와 특성 통과 대역 별 LPF(Low Pass Filter) : 저역통과필터 HPF(High Pass Filter) : 고역통과필터 BPF(Band Pass Filter) : 대역통과필터 BRF(Band Reject Filter) : 대역차단필터 적용 소자 별 Passive Filter : RLC수동소자로만 구성 Active Filter : RLC + 능동 소자(트랜지스터, Op-Amp) 필터의 차수 별 1차 : L 또는 C가 1개만 있을 경우 2차 : L혹은 C가 2개만 있을 경우 3차 : L 또는 C가 3개만 있을 경우 필터의 차수가 높아질수록 Ideal 한 필터에 가까워진다. 보통은 1 또는 2차 필터를 사용한다. 공진주파수 :X_l과 X_c가 같아지는 주파수 공진이 되면 C하고 L의..
2023.05.09